FOSB

FOSB
식별자
다른 이름FOSB, AP-1, G0S3, GOS3, GOSB, FosB, ΔFosB, FosB proto-oncogene, AP-1 transcription factor subunit
외부 IDOMIM: 164772 MGI: 95575 HomoloGene: 31403 GeneCards: FOSB
유전자 위치 (인간)
19번 염색체
염색체19번 염색체[1]
19번 염색체
FOSB의 유전자 위치
FOSB의 유전자 위치
자리19q13.32시작45,467,995 bp[1]
45,475,179 bp[1]
유전자 위치 ()
7번 염색체 (쥐)
염색체7번 염색체 (쥐)[2]
7번 염색체 (쥐)
FOSB의 유전자 위치
FOSB의 유전자 위치
자리7 A3|7 9.56 cM시작19,036,621 bp[2]
19,043,976 bp[2]
RNA 발현 패턴
Bgee
인간(동원체)
최상위 발현
  • gastric mucosa

  • skin of thigh

  • 쓸개

  • saphenous vein

  • 유두

  • 대정맥

  • 과립구

  • mucosa of urinary bladder

  • mucosa of paranasal sinus

  • 골수세포
최상위 발현
  • 과립구

  • 랑게르한스섬

  • perirhinal cortex

  • spermatocyte

  • entorhinal cortex

  • spermatid

  • CA3 field

  • cumulus cell

  • 요도

  • male urethra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BioGPS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유전자 온톨로지
분자 함수
  • DNA 결합
  • sequence-specific DNA binding
  • DNA-binding transcription factor activity
  • DNA-binding transcription activator activity, RNA polymerase II-specific
  •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 double-stranded DNA binding
  • RNA polymerase II cis-regulatory region sequence-specific DNA binding
  • DNA-binding transcription factor activity, RNA polymerase II-specific
세포 성분
  • intracellular membrane-bounded organelle
  • 세포핵
  • 핵질
생물학적 과정
  • cellular response to calcium ion
  • DNA를 주형으로 한 전사의 조절
  • regulation of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II
  • response to progesterone
  • female pregnancy
  • response to corticosterone
  • response to mechanical stimulus
  • negativ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II
  •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II
  • response to morphine
  • cellular response to hormone stimulus
  • response to cAMP
  • positiv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II
출처: Amigo / QuickGO
동원체
인간
앙트레

2354

14282

앙상블

ENSG00000125740

ENSMUSG00000003545

유니프롯

P53539

P13346

RefSeq (mRNA)

NM_001114171
NM_006732

NM_008036
NM_001347586

RefSeq(단백질)

NP_001107643
NP_006723

NP_001334515
NP_032062

위치(UCSC)Chr 19: 45.47 – 45.48 MbChr 7: 19.04 – 19.04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쥐 보기/편집

'FosB' 또는 'G0 / G1 스위치 조절 단백질 3'(G0S3,G0/G1 switch regulatory protein 3 )로도 알려진 단백질 fosB는 인간에서도 보여지는 FBJ 포유류 골육종 바이러스 발암 유전자 동족체 B (FOSB,FBJ murine osteosarcoma viral oncogene homolog B)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이다.[5][6][7] 이는 때로 fosB 그 유전자 자체를 가리키기 위한 용어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FOS 유전자 패밀리는 FOS, FOSB, FOSL1 및 FOSL2의 네 가지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이들 유전자는 JUN 패밀리 (예를 들어, c-Jun, JunD)의 단백질과 이량 체화될 수있는 류신 지퍼 단백질(leucine zipper protein)을 암호화하여 전사 인자 복합체 AP-1(AP-1 transcription factor)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FOS 단백질은 세포 증식, 분화 및 형질 전환의 조절제로서 연관되어있다.[5]비록 Δ2ΔFosB가 알려진바와같이 트랜스 활성화 도메인(transactivation domain)이 결여되어 AP-1 복합체를 통한 전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지만 FosB 및 그의 절단된 스플라이스 변이체(splice variant), ΔFosB 및 추가로 절단된 Δ2ΔFosB는 모두 골다공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바있다.[8]

같이 보기

각주

  1.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125740 - 앙상블, May 2017
  2. GRCm38: Ensembl release 89: ENSMUSG00000003545 - 앙상블, May 2017
  3.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Entrez Gene: FOSB FBJ murine osteosarcoma viral oncogene homolog B”. 
  6. Siderovski DP, Blum S, Forsdyke RE, Forsdyke DR (Oct 1990). “A set of human putative lymphocyte G0/G1 switch genes includes genes homologous to rodent cytokine and zinc finger protein-encoding genes”. 《DNA and Cell Biology》 9 (8): 579–87. doi:10.1089/dna.1990.9.579. PMID 1702972. 
  7. Martin-Gallardo A, McCombie WR, Gocayne JD, FitzGerald MG, Wallace S, Lee BM, Lamerdin J, Trapp S, Kelley JM, Liu LI (Apr 1992). “Automated DNA sequencing and analysis of 106 kilobases from human chromosome 19q13.3”. 《Nature Genetics》 1 (1): 34–9. doi:10.1038/ng0492-34. PMID 1301997. 
  8. Sabatakos G, Rowe GC, Kveiborg M, Wu M, Neff L, Chiusaroli R, Philbrick WM, Baron R (May 2008). “Doubly truncated FosB isoform (Delta2DeltaFosB) induces osteosclerosis in transgenic mice and modulates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Smads in osteoblasts independent of intrinsic AP-1 activit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3 (5): 584–95. doi:10.1359/jbmr.080110. PMC 2674536. PMID 18433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