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Володимѣръ Мономахъ
제14대 키예프 대공
재위 1113년 ~ 1125년
전임 스뱌토폴크 2세
후임 므스티슬라프 1세
스몰렌스크 공작
재위 1073년 ~ 1078년
체르니고프 공작
재위 1078년 ~ 1094년
페레야슬라블 공작
재위 1094년 ~ 1113년
이름
블라디미르 프세볼로비치
별호 모노마흐
신상정보
출생일 1053년 5월 26일
출생지 키예프 루스 페레야슬라우흐멜니츠키
사망일 1125년 5월 19일
사망지 키예프 루스 키예프
국적 키예프 루스
왕조 류리크 왕조,모노마코스 가문
부친 프세볼로트 1세
모친 모노마킨야
자녀 므스티슬라프 1세
종교 동방 정교회
묘소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
사냥 후 쉬고 있는 모노마흐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교회 슬라브어: Володимѣръ Мономахъ 볼로디매루 모노마후, 러시아어: Владимир Мономах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우크라이나어: Володимир Мономах 볼로디미르 모노마흐[*], 1053년 ~ 1125년 5월 19일)는 키예프 루스의 대공(재위: 1113년 ~ 1125년)이다. 류리크 왕조 출신이다.

생애

프세볼로트 1세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비잔티움 제국콘스탄티누스 9세(콘스탄티누스 9세 모노마쿠스) 황제의 딸이며 그의 이름 또한 여기서 유래된 이름이다. 1073년부터 1078년까지 스몰렌스크 공작, 1078년부터 1094년까지 체르니히우 공작을 역임했고 1094년부터 1113년까지 페레야슬라우(페레야슬라우흐멜니츠키) 공작을 역임했다.

1113년 스뱌토폴크 2세 대공이 사망하면서 키예프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 대공으로 즉위한 뒤에는 키예프 주민들의 생활을 개선하는 데에 주력하는 한편 키예프 대공국을 위협하던 쿠만인을 정벌했다.

1125년 5월 19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키예프의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전임
스뱌토폴크 2세
제제14대대 키예프 대공
1113년 ~ 1125년
후임
므스티슬라프 1세
  • v
  • t
  • e
키예프 공작
신화 시대
류리크가
키예프 대공
류리크가
키예프 공작
류리크가
올샨스키가
  • 민다우가스 홀샨스키
  • 알기만타스 미하엘
게디미나스가
  • 표도르 1세
  • 블라디미르 6세 올게르도비치
  • 스키르가일라
올샨스키가
  • 이반
  • 안드레이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볼로반
게디미나스가
  • 슈비트리가일라
  • 알렉산데르올레코
  • 시메온 올레코비치
  • v
  • t
  • e
인테르 선정(2008년) 위대한 우크라이나인
Великі українці
  • 71-80위:
  • 올레스 혼차르
  • 바실 시모넨코
  • 미하일로 코추빈스키
  • 라이사 크리첸코
  • 나자리 야렘추크
  • 루슬라나 리지치코
  • 야나 클로치코바
  • 레스 쿠르바스
  • 페트로 시모넨코
  • 콘스탄티 바실 오스트록스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FAST
  • ISNI
  • VIAF
  • 월드캣
국가
  • 프랑스
  • BnF 데이터
  • 독일
  • 이스라엘
  • 미국
  • 체코
  • 네덜란드
  • 폴란드
  • 러시아
  • 바티칸
인물
  • Deutsche Biographie
기타
  • 우크라이나 인터넷 백과사전
  • IdRef